서브비주얼

개회

축사

  • 지 영 미 청장

    질병관리청

    학력사항

    • 198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
    • 1988 영국 런던대 의학미생물학 Diploma
    • 1997 영국 런던대 바이러스학 박사

    경력사항

    • 2007 ~ 2014 WHO 서태평양지역본부 지역조정관
    • 2014 ~ 2019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
    • 2016 ~ 2019 국제백신연구소(IVI) 이사
    • 2020 ~ 2020 WHO 예방접종전략자문위원회 위원
    • 2020 ~ 2023 WHO 코로나19 긴급위원회 위원
    • 2021 ~ 2022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소장
    • 2022 ~ 현재 질병관리청장
  • 이 창 윤 제1차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학력사항

    • 1987 충암고등학교
    • 1995 연세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 1999 연세대학교 특허법 석사

    경력사항

    • 1995 기술고시 합격(30회)
    • 1996 과학기술처,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 2014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인재정책과장
    • 2016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정책과장
    • 2017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교육파견
    • 20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
    • 20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 2022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 전문위원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
    • 20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지원단장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개회사

  • 박 현 영 원장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학력사항

    • 1990 연세대학교 의학과 의학학사
    • 1995 연세대학교 의학과 의학석사
    • 2000 연세대학교 의학과 의학박사

    경력사항

    • 2002 ~ 200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설연구소 연구조교수
    • 2005 ~ 2005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질환과장
    • 2005 ~ 2007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질환팀장
    • 2007 ~ 2017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희귀질환과장
    • 2017 ~ 2020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장
    • 2020 ~ 2023 국립보건연구원 미래의료연구부장
    • 2023 ~ 현재 국립보건연구원장

환영사

  • 김 장 성 원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학력사항

    • 1989 서울대학교 농생물학 졸업
    • 1991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화학 석사
    • 2005 한국과학기술원(KAIST) 종양생물학 박사

    경력사항

    • 2017 ~ 2018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생명의료 전문위원
    • 2012 ~ 2018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교수
    • 2010 ~ 20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원장, 미래연구정책본부장, 책임연구원
    • 2019 ~ 2023 보건복지부 제4·5기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 민간위원
    • 2020 ~ 2023 충남대학교병원 비상임이사
    • 2021 ~ 20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임직이사
    • 2021 ~ 2023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제18대 회장
    • 2018 ~ 현재 제13대·제14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 2020 ~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위원
    • 2023 ~ 현재 환경부 환경R&D혁신위원회 위원
  • 이 영 국 원장

    한국화학연구원

    학력사항

    • 1985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 학사
    • 1987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 석사
    • 1997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 박사

    경력사항

    • 2011 ~ 2014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본부 정보전자소재연구센터장
    • 2015 ~ 2015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장
    • 1989 ~ 2023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2020 ~ 2022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소재부품단장
    • 2022 ~ 현재 미래선도연구장비 사업단 자문위원회의 자문위원
    • 2023 ~ 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
    • 2023 ~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기조강연

(질병관리청-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연구기관 임무중심 백신‧치료제 신속개발 협력사업 추진계획(안)

  • 장 희 창 소장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학력사항

    • 200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
    • 2017 하버드의과대학/메사추세츠종합병원 감염내과 Post-Doc/Research Fellow 연수

    경력사항

    • 2002 ~ 2005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 2005 ~ 2008 한국 국제협력단(KOICA) 협력의사(방글라데시)
    • 2008 ~ 2009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임의
    • 2009 ~ 현재 전남대학교병원/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20 ~ 현재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장

1부.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 관련 연구기관 간 협력방안 마련 (발표 및 Q&A)

좌장

  • 성 백 린 교수

    연세대학교

    학력사항

    • 1977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 졸업
    • 1979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물공학 석사
    • 1988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생물학 박사
    • 1992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박사후연구원

    경력사항

    • 1993 ~ 1998 한효과학기술원 생물과학연구소 소장
    • 1996 ~ 1998 한일합섬 이사
    • 1998 ~ 2020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교수
    • 1999 ~ 2002 생물무기금지국제협약 UN회의 정부대표
    • 2001 ~ 2009 프로테온 대표이사
    • 2013 ~ 2018 면역백신기반기술개발센터 센터장
    • 2018 ~ 2022 국제백신연구소 과학자문위원
    • 2020 ~ 202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 2020 ~ 현재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 2020 ~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특임교수
    • 2020 ~ 현재 외교부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 바이오분과 위원장
  • 최 영 기 연구소장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학력사항

    • 1996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 1999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석사
    • 2002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USA. 박사

    경력사항

    • 1998 ~ 2002 Research Assistant i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 2003 ~ 2003 Post-doctoral fellow i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 2003 ~ 2004 Post-doctoral fellow in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 2004 ~ 2023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21 ~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연구소장

연자

  • 이 유 경 보건연구관/과장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백신연구개발총괄과

    학력사항

    • 1990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졸업
    • 1996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석사
    • 2008 서울대학교 역학대학원 분자역학 박사

    경력사항

    • 2021 ~ 현재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백신연구개발총괄과 과장
    • 1998 ~ 2021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사, 연구관

    발표주제

    •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 관련 연구기관 간 협력방안 마련

    강연요약

    • COVID-19 팬데믹을 겪으며 백신은 감염병으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대책임이 확인되었고, 그 개발 기술의 확보는 국가의 가장 중요한 책임임이 분명해졌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2023년 5월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을 마련하여 다음 팬데믹에 대한 대응 준비를 시작하였다. 팬데믹 발생 시 100일 또는 200일 이내에 백신치료제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백신 개발이 가장 필요한 9개의 우선순위 질병(라싸열, SFTS, COVID-19, 뎅기열, 니파, 인플루엔자, RSV, 치쿤구니야, 한탄)을 선정하였고, 신속한 백신 개발을 위해 핵심적인 기술인 mRNA백신 기술을 확보하고 국가 백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 전략 수립, 임상 네트워크 구축, 비상 대응 매뉴얼 마련 및 임상 연구 센터 설립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계획을 이행하기 위하여 질병청에서는 미래팬데믹 대비 mRNA백신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하여 2028년까지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통한 mRNA 기술을 확보하고 경상북도 안동시에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KAVAD)를 설립하여 국가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과 AI 기술도입을 통한 첨단 백신 개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 대비의 핵심은 대응 ‘속도’이다. 충분히 대비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유관기관들과의 협력과 국제적 네트워크를 확보하여야 한다. 국내에서는 질병청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화학연구소,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등전문 연구기관들과 긴밀하게 소통하여 협력을 통한 대응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더불어 국제적으로는 미국 NIAID, 영국 UKHSA, IVI, CEPI 등과의 협업을 통한 공동 대응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준비를 통해서 심각해지고 있는 신종감염병들로부터 국민들의 건강과 안녕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 백신 확보 체계를 확실히 다져가도록 노력하겠다.
  • 정 대 균 책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

    학력사항

    • 1995 전북대학교 화학과 졸업
    • 1997 전북대학교 화학과 석사
    • 2008 교토대학교 화학과 단백질 구조생물학 박사

    경력사항

    • 1998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2019 ~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전임교원)
    • 2021 ~ 2025 한국연구재단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운영위원회 위촉위원
    • 2021 ~ 2023 대한 인수공통감염병 학회 재무 이사
    • 2018 ~ 2021 한국연구재단 신약단 전문위원
    • 2015 ~ 2017 한국구조생물학회 기획이사
    • 2010 ~ 2011 캘리포니아대학교 (UCSD, 샌디에이고) 박사후연구원

    발표주제

    • 팬데믹 대응 백신 개발을 위한 출연연간 협력 연구

    강연요약

    •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mRNA 백신이 신속하게 개발되었으나, 효과적인 치료제의 부재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지속적인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백신 효과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음. 앞으로 팬데믹이 다시 발생하면, 백신으로 감염예방 및 중증화를 방지하고, 치료제로 감염자 치료를 통한 사망률을 감소하기 위하여 초기 후보물질 개발부터 백신과 치료제를 동시에 개발하고 플랫폼 기술 확보해야 하며, 국제 협력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글로벌 차원의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백신 개발 및 공급 시스템을 확립하여야 함. 지난 코로나19 발생 시, 국내 출연연은 각각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여 기업에 기술이전의 성과가 있었으며, 다음 팬데믹의 대응을 위하여 기관의 고유 기술을 결합한 통합적 백신 개발 체계 구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감염병에 대응해야 함. 백신 개발은 기존 백신의 효과를 항상 시킬 수 있는 백신 플랫폼 기술로 Al를 이용한 백신 디자인, 합성생물학을 이용한 대량 생산 백신 세포주 및 전임상 시험을 완료하여, 임상 시험 직전의 백신을 출연연-백신 기업 등과 협력 연구를 통하여 비축하여, 팬데믹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함.
  • 권 영 찬 책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

    학력사항

    • 2005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과 졸업
    • 2007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 석사
    • 2013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 박사

    경력사항

    • 2023 ~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2021 ~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의약화학 및 약리생물학 부교수
    • 2018 ~ 2023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8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선임연구원
    • 2016 ~ 2018 스크립스연구소(TSRI) 연구원/li>
    • 2013 ~ 2016 세인트루이스 대학교 의과대학 박사후 연구원

    발표주제

    •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 백신 개발 현황 및 미래 대응

    강연요약

    • 한국화학연구원은 2016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미래선도형 융합연구사업인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CEVI융합연구단)을 유치하면서 현재까지 국가 위협 및 글로벌 팬더믹 유발 신·변종 감염병 대응 백신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유관 부처 기관들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수행하며 과기정통부 출연(연)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 오고 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CEVI)가 확보한 ‘고효능 백신 개발 플랫폼’은 오랜 기간 CEVI가 자체 개발한 인체 유래 세포투과펩타이드(Cell Penetrating Peptide)를 활용하여 효능이 매우 우수한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신규 기술입니다. CEVI는 본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능이 우수한 메르스, 코로나19, 중증혈소판감소증후군 등 신·변종 감염병 예방에 필요한 다수의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하였고, 이중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은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에서 국내 연구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기술이전을 통한 임상 1상을 진행시킨 바 있습니다. 이외에도 CEVI는 CRISPR 기술을 활용한 항원 발현 세포주 제작 기술, Easy 항원 발현 및 정제 기술, 백신 효능 분석에 중요한 감염동물모델 구축을 진행 중이며 관련 기술에 대한 국내 및 삼극 IP 확보, 노하우 정립화와 더불어 기술이전을 통한 실용화 성과를 이룩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미래 신·변종 팬더믹 발생에 대비하여 국제기구 및 국가 간의 협력, ‘국가 감염병 R&D 전략 로드맵’에 따른 국내 부처, 공공기관 및 민간과의 적극적인 협업이 강조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CEVI는 미래 신·변종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호흡기성 및 출혈열 질병 유발 고위험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항원 라이브러리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고도로 훈련된 AI 기술을 활용한 미해결 감염병 대응 신속 합성 항원 개발을 이미 추진 중이며, 한국형 mRNA 백신 플랫폼 구축에 필요할 신규 요소기술 개발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CEVI는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백신 개발 플랫폼 구축 및 항원 라이브러리 구축 등 글로벌 감염병 현안 해결에 필요한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미래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 질병관리청 및 민간과 적극적인 협업에 참여하고자 합니다.
  • 김 의 호 연구실장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바이러스면역연구실

    학력사항

    • 2004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졸업
    • 2006 한동대학교 생명과학과 석사
    • 2014 미국 위스컨신주립대 면역학 박사

    경력사항

    • 2014 ~ 2018 미국 에모리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 2018 ~ 2019 미국 국립보건원 (NIEHS/NIH) 연구원
    • 2019 ~ 2020 엔에이백신연구소(주) 연구소장
    • 2020 ~ 현재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바이러스면역팀장
    • 2023 ~ 현재 UST 첨단신약개발 부교수

    발표주제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 신규 mRNA 구조체를 이용한 백신개발 현황

    강연요약

    • mRNA 기반 백신은 코로나19 대유행 발생 후 약 10개월 만에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생명을 보호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 백신은 노벨상을 안겨준 변형 핵산 기술과 함께 mRNA 캡핑, 지질 나노입자(LNP) 사용을 통해 생체 내에서 안정적인 항원 단백질 생성을 가능케 했으며, 초기 임상시험에서 약 95%에 달하는 높은 예방 효능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변형 핵산 및 캡핑 기술을 사용한 mRNA 백신은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 비용으로 인해 저소득 국가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백신 접근성의 격차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변형 핵산이 체내에서 비정상 단백질 생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기도 했으며, 뛰어난 mRNA 백신의 효능에 비해 면역 지속성은 다소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POSTECH과 협력하여 변형 핵산과 캡핑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신규 mRNA 백신 구조체를 개발하였고, 동물 모델 실험에서 우수한 백신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서 개발중인 신규 mRNA 구조체 기술에 대한 소개를 포함하여 주요 백신 플랫폼들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신변종 감염병의 선제적 대비를 위한 효과적 백신 개발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 임 재 환 센터장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KAVAD)

    학력사항

    • 1999 고려대학교 분자세포생물학 졸업

    경력사항

    • 2024 ~ 현재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센터장
    • 2005 ~ 현재 국립안동대학교 백신생명공학과 교수
    • 2000 ~ 2005 미국 NIH 박사후 연구원

    발표주제

    •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KAVAD)의 인사이트 : 인공지능 기반 백신 개발과 신속 대응 인프라

    강연요약

    • 코로나19 팬데믹은 신종 감염병에 대한 신속하고 유연한 백신 개발 플랫폼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KDCA) 산하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KAVAD)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항원 디자인, 단백질의 신속 발현과 초고속 검증, 그리고 백신 항원 국가통합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운용을 핵심 전략으로 삼아 혁신적인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KAVAD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높은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갖춘 백신 항원을 예측하고 설계하는 AI 기반 항원 디자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단백질 안정화에 기반한 프로그램과 새롭게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디자인 플랫폼이며, 추가로 개발하고자 하는 항원단백질의 신속 발현과 초고속 검증 시스템과 통합되어, AI tool로 설계된 후보항원의 백신 효과와 안전성을 빠르게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KAVAD는 자체적인 자원 확보와 외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백신 항원 국가통합 라이브러리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백신 후보물질과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저장함으로써, 신 병원체나 병원체 변종이 나타났을 때, 국가차원에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백신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KAVAD의 통합된 접근 방식은 CEPI에서 제시한 신규 감염병 발생 후 100일 이내에 실행 가능한 백신 후보를 생산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I 기반 항원 예측 모델, 항원단백질의 신속 발현 기술, 초고속 효능 검증 시스템, 그리고 백신 항원 국가통합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신규 병원체에 대한 전임상 시험 단계를 가속화하고 임상 개발로의 신속한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항원 식별부터 임상 적용까지의 시간을 단축시켜, 국내 감염병 위기 대응에 기여하고, 미래 팬데믹에 대한 신속 대응 체계를 완성시켜 국내 공중보건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부. 신종감염병 대응 치료제 관련 연구기관 간 협력방안 마련 (발표 및 Q&A)

좌장

  • 김 균 환 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력사항

    • 1989 서울대학교 화학과 졸업
    • 1991 서울대학교 화학과 석사
    • 2002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박사

    경력사항

    • 2003 ~ 2005 미국 브라운대학교 의과대학 post-doc
    • 2006 ~ 2010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과 교수
    • 2011 ~ 2020 건국대학교 약리학 교실 주임교수
    • 2020 ~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밀의학교실 교수
  • 이 주 연 센터장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학력사항

    • 1989 건국대학교 생물학과 졸업
    • 1991 건국대학교 미생물학전공 석사
    • 2004 고려대학교 생화학전공 박사

    경력사항

    • 2005 ~ 2017 국립보건연구원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 보건연구관
    • 2012 ~ 2013 미국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방문연구원
    • 2017 ~ 2020 국립보건연구원 신종감염병매개체연구과장
    • 2020 ~ 2024 중앙방역대책본부 치료임상팀장/치료제개발추진반장
    • 2020 ~ 현재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장

연자

  • 김 경 창 과장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

    학력사항

    • 2000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 학사
    • 2002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 석사
    • 2011 고려대학교 분자생물학 박사

    경력사항

    • 2020 ~ 현재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 과장
    • 2021 ~ 현재 중앙방역대책본부 치료백신개발총괄단 치료제연구개발팀장
    • 2018 ~ 현재 대한에이즈학회 이사, 대한바이러스학회 학술지 심사위원
    • 2012 ~ 2015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박사후과정
    • 2004 ~ 2020 국립보건연구원 보건연구사, 보건연구관

    발표주제

    • 신종감염병 대비 질병청-과기부 치료제 연구협력 방안

    강연요약

    • 전세계적 코로나 19 경험을 통해 팬데믹 유행 시 치료제는 백신이 보급되기 전까지 국민의 생명 보호와 사회적 안정을 유지 할 수 있는 효율적 수단이라는 국민적 공감대과 형성되었고, 실행가능한 팬데믹 대응 전략수립과 사전 준비 등 다음 팬데믹 대비를 위한 정부의 역할이 주목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질병청과 과기부는 국가 연구기관 간 감염병 치료제 연구협력TF를 구성하여 국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신종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유기적인 협력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본 발표는 다음 팬데믹에 대비를 위해 감염병 치료제 우선순위 병원체에 대한 통합 라이브러리 DB 구축과 새로운 모달리티 기반의 치료제 개발 등 질병청과 과기부의 공동연구 협업계획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고 경 철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

    학력사항

    • 2006 Tohoku University 응용미생물학전공 박사
    • 2001 제주대학교 유전공학전공 석사
    • 1999 제주대학교 생명공학전공 학사

    경력사항

    • 2024 ~ 현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 자문위원
    • 2024 ~ 현재 질병관리청 감염병 백신 시험·분석 운영위원회 운영위원
    • 2022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장
    • 2021 ~ 현재 벤처기업확인기관(중기부) 현장평가위원
    • 2021 ~ 2023 지능형스마트기술정책원 이사
    • 2020 ~ 2023 코로나19 대응 연구개발지원협의체 사무국장
    • 2017 ~ 20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무관(級)/연구원
    • 2015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2001 ~ 2002 UNESCO 특별연구원

    발표주제

    • 넥스트 팬데믹 대비 첨단바이오 플랫폼 융합 치료제 개발 고도화 전략

    강연요약

    • 넥스트 팬데믹 대비 백신·치료제 100/200일 미션과 같은 신속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인 첨단바이오 분야의 역량을 융합하고, 병원체-바이오소재/연구-약물발굴-바이오파운드리-전임상-임상 데이터를 연계/활용하는 ‘감염병 디지털데이터 밸류체인(value-chain)’을 통한 감염병 신약개발 가속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세포-소동물-휴먼오가노이드-영장류-GLP독성 등 전주기 전임상 원스톱 체계와 연동하여 디지털 PK/PD/TK 예측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임상 단계 시간 단축 및 최적의 임상시험설계 도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넥스트 팬데믹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생성형 AI 분자설계 기술 기반 감염병 회피변이 극복형 분자인식 소재 디자인 및 합성생물학 기반 바이오파운드리 이용 효율적 분자 설계 검증, 그리고 디지털 전임상 예측모델 연계를 통해 감염병 치료제 개발 가속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김 미 현 책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치료기술연구센터

    학력사항

    • 1992 경북대학교 화학과 학사
    • 1995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석사
    • 2000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박사

    경력사항

    • 2000 ~ 2010 목암생명공학연구소 (책임 및 수석연구원)
    • 2010 ~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책임연구원)

    발표주제

    • 유도체의 SARS-CoV-2 억제 기전과 감염동물모델에서 효능 연구

    강연요약

    • 핵산 유도체 화합물 라이브러리의 세포 수준 스크리닝을 통해 SARS-CoV-2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항바이러스 물질을 확보함. 삼인산 대사체 합성을 하여 SARS-CoV-2 nsp12의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뿐 아니라 NiRAN 영역을 동시에 타겟팅하여 바이러스 유전자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을 규명함. 마우스 약동력학 연구에서 경구 투여시 생체 이용률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SARS-CoV-2 감염 동물모델에서 항바이러스 효능에 의한 생존률 개선 자료를 확보함. 또한, 핵산 유도체 후보물질이 변이주 바이러스 및 다양한 인체감염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및 뎅기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지에 대한 항바이러스 범용성 연구를 병행함. 본 발표를 통해 글로벌 항바이러스제 개발 현황과 국내 보유 후보물질의 항바이러스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권 선 오 책임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학력사항

    • 200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졸업
    • 2009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석사
    • 2012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 박사

    경력사항

    • 2016 ~ 현재 한국한의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2012 ~ 2016 Research Associate (PI: Herbert Y. Meltzer)
      Dep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Northwestern University Feinberg School of Medicine
    • 2012 ~ 201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술연구교수

    발표주제

    • 감염병 전(全)주기 대응 복합제제 연구개발

    강연요약

    • 코로나19는 무증상-경증-중(등)증-후유증의 순서로 신속하게 전변(轉變)하는 다양한 임상증후를 보인다. 현재 기승인 코로나19 경구투여제는 경증 및 중등증 환자 중 중증화 위험인자 보유자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대다수의 환자들은 대증치료에 의존하고 있다. 한약(생약)제제는 급성호흡기감염증 대증치료 약제로서 인지도가 높고, 코로나19 치료제 대체재로 국민 수요가 급증하였음에도 임상근거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편이다.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한약(생약)제제의 코로나19 전(全)주기 대응 임상적용의 근거확보를 목표로 비임상-임상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비임상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생활사(life-cycle) 억제, 항염증 등 다중약리 효능 및 in vivo 임상증후 완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임상 연구에서는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 환자에 대한 3종 복합제제 효능 평가를 위한 예비 연구자 임상시험을 수행하였고, 향후 대규모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임상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감염병 전주기 대응 융복합 의료기술 연구개발 전략 및 국가 연구기관 간 협력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3부. 신종감염병 대응 연구인프라 관련 연구기관 간 협력방안 마련 (발표 및 Q&A)

좌장

  • 이 동 건 교수 /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감염내과

    학력사항

    • 1983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99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의학석사
    • 2002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의학박사

    경력사항

    • 2002 ~ 현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감염내과 교수
    • 2006 ~ 2008 Univ. of Wisconsin, Madison, 교환교수
    • 2017 ~ 현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감염내과 분과장
    • 2018 ~ 현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감염관리실장
    • 2014 ~ 2024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입학관리실장
    • 2022 ~ 2023 Infection & Chemotherapy 편집인
    • 2023 ~ 현재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 2023 ~ 현재 감염병기획 기부금관리위원회 위원
    • 2023 ~ 현재 제7기 감염병관리위원회 위원
    • 2023 ~ 현재 제5기 감염병연구기획전문위원회 위원장
  • 이 기 은 센터장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학력사항

    • 1987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졸업
    • 1989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석사
    • 1994 미국 Brown University MCB 프로그램 박사

    경력사항

    • 1995 ~ 1996 미국 Brown University 박사후 연구원
    • 2002 ~ 2004 미국 Havard Medical School Research Fellow 및 책임연구원
    • 2004 ~ 2011 국립보건원 세균부 보건연구관
    • 2011 ~ 2017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병원체방어연구과장
    • 2017 ~ 2023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
    • 2023 ~ 현재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장

연자

  • 강 병 학 과장

    국립보건연구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병원체자원관리과

    학력사항

    • 1994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졸업
    • 1996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이학석사
    • 2006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이학박사

    경력사항

    • 2023 ~ 현재 국립보건연구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병원체자원관리과장
    • 2021 ~ 2023 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 진단분석과장

    발표주제

    • 연구기관 중심 국제협력기반 자원·정보 통합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방안 마련

    강연요약

    • ○ 국내·외 자원 협력 네트워크 구축
      - 컨소시움을 통한 아시아·아프리카 의료기관 및 연구기관들과 자원수집 협력 체계 구축
      - 협력 국가 선정 및 MOU 등을 통해 파트너십 체결
      ○ 해외에서 분리된 병원체와 환자 검체 확보, 자원화 및 신속 분양
      - 해외 다발 신종 고위험병원체 및 검체 국내 반입
      - 질병청 시설 이용 수입 제3, 4위험군 검체에서 고위험병원체 분리 및 배양, 특성 분석․병원체자원화, 병원체자원 및 불활화자원 분양
      ○ 국내 의료기관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한 국내 환자 검체 확보 및 신속 분양
      ○ 국내외법 및 규정을 준수하여 해외 고위험병원체 및 검체 반입 절차 마련
  • 안 인 성 책임연구원/팀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

    학력사항

    • 1994 고려대학교 응용동물학과 졸업
    • 1996 고려대학교 응용동물학과 석사
    • 2002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이학박사
    • 2007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박사

    경력사항

    • 2002 ~ 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
    • 2015 ~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응용 전공 AI 전임교수
    • 2016 ~ 2022 한국화학연구원 CEVI융합연구단 확산방지팀장(겸임연구원)
    • 2023 ~ 현재 과기정통부 감염병로드맵 감시예측분과 분과장
    • 2022 ~ 2023 질병관리청 감염병연구기획전문위원회 분과위원
    • 2015 ~ 2021 질병관리청 감염병연구포럼 분과위원
    • 2021 ~ 2023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운영위원

    발표주제

    • 개발도상국 자원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디지털기반 시스템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강연요약

    • (목적)
      - 개도국으로부터 확보된 병원체의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디지털화하여 우리나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 및 실증
      - 해외 감염병 자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
      ( 내용)
      1. 개도국으로부터 표준화된 자원 정보의 확보를 위한 표준운영절차 확립
      2. 개도국에서 확보된 병원체의 유전자 및 생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분석 ,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함
      3. 감염병 진단 및 관리 매뉴얼과 샘플 수집 절차를 제공하여 개도국의 병원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지원하며 이를 , 위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함.
  • 이 미 옥 책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상평가지원센터

    학력사항

    • 2005 세종대학교 분자생물학 학사
    • 2007 세종대학교 분자생물학 석사
    • 2012 차의과학대학 의생명과학 박사

    경력사항

    • 2023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상평가지원센터 (겸)
    • 2012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 2021 ~ 현재 UST 기능유전체학과 교수

    발표주제

    • 휴먼오가노이드 기반 감염병 HTS플랫폼 구축

    강연요약

    • (목적) 신기술을 활용한 감염병 대응 백신·치료제 개발연구 보조 플랫폼 구축
      (내용)
      - 휴먼오가노이드 감염병 연구 및 전임상 평가/지원을 위한 HTS 적용
      - 치료제/백신 신속평가를 위한 휴먼오가노이드 기반 HTS 플랫폼 구축
      - 미래감염병 대비 휴먼오가노이드 기반 HTS 적용 초고속 신약탐색법 개발
  • 이 근 화 교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학력사항

    • 1994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이학학사
    • 1999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생물학과 이학석사
    • 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의학박사
    • 현재 LONDON SCHOOL of HYGIENE & TROPICAL MEDICINE(LSHTM), University of London(UOL) 영국런던감염병 보건학 석사과정

    경력사항

    • 2020 ~ 현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 2020 ~ 현재 질병관리청 검역전문위원
    • 2022 ~ 2024 한국연구재단 기획전문위원감염질환(감염질환 )
    • 2004 ~ 2020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교수
    • 2021 ~ 현재, 2015 미육군의학연구소태국방콕방문 연구원
    • 2014 서태평양 필리핀마닐라WHO(WPRO,) Surveillance and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IHR) duty officer
    • 2013 Completed Applied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영국런던LSHTM, UOL(영국, 런던)
    • 2013 Completed the WRAIR Tropical Medicine Course, WRAIR(Walter Reed Army Institute of Research), 워싱턴 미국( D.C. 미국)
    • 2005 ~ 2006 하버드 의과대학미국보스턴, BWH Channing Lab.(미국, 보스턴 ) 리서치 펠로우
    • 2003 ~ 2006 서울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2001 ~ 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조교
    • 1994 ~ 1997 대한민국 공군 중위

    발표주제

    • 국가차원의 해외연구거점센터 활성화를 위한 공동연구 지원체계(안)

    강연요약

    • (목적) 분산되어 있는 기관별 감염병 현지연구거점센터를 연계하고 나아가 공동 연구과제 추진
      (내용 )
      1. 국내에서 수행이 어려운 연구와 특정 지역국가(예, 동남아시아, 아프리카등) 에서만 연구가 가능한 감염병 연구 분야를 발굴 및 연구 지원
      2. 국내.외 감염병 연구자 교류를 위한 감염병 포럼워크숍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