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비주얼

좌장 및 연자

Part 1.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을 위한 국가 연구기관의 R&D 추진방안

좌장

  • 김 남 중

    소속: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직위/직책: 교수

    학력사항

    • 199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97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내과학 석사
    • 2004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내과학 박사

    경력사항

    • 2001 ~ 2005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내과 조교수
    • 2005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 2007 ~ 2008 Harvard Medical School Visiting Scholar
    • 2022 ~ 현재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연자

  • 이 정 민

    소속: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
    감염병연구기획총괄과

    직위/직책: 감염병연구기획총괄과장

    학력사항

    • 1995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 이학사
    • 1997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전공학과 / 이학석사
    • 2001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이학박사

    경력사항

    • 2001 ~ 2005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연구소 / 선임연구원·전임강사
    • 2005 ~ 2006 미국 텍사스주립대 생명공학연구소 / 박사후연구원
    • 2008 ~ 2012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전임연구원·전임대우연구조교수
    • 2012 ~ 2020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 보건연구사·보건연구관
    • 2020 ~ 2021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 보건연구관
    • 2021 ~ 현재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 과장

    발표주제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국가연구개발 혁신 방안

    강연요약

    • 코로나19 대유행 등 글로벌 보건안보 위기상황은, 감염병의 위협에 대비·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측면에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할지 우리들에게 많은 과제들을 남기고 있다. 정부는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23.5.11.)을 수립하여 미래 대비·대응 차원의 공백기술 및 공공영역에 대한 집중 투자와 더불어, 국내외 연구주체간 효과적인 연계·협력 시스템을 마련하고자 한다. 국립감염병연구소는 ▲국내에서는 범부처감염병대응연구개발추진위원회와 감염병연구기관협의체 등을 통해 각 부처 및 연구기관 간 임무 중심의 연구개발 연계·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으로는 ①주요 선진국 대표 연구기관(美 NIAID, 日 AMED/NIID, 싱가포르 NCID 등)과의 기술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②CEPI, WHO, IVI 등 국제기구와 다자간 협력 강화, ③감염병 발생국가 내에 해외연구거점 구축 등을 통한 감염병 연구자원·정보의 확보·공유 및 민·관 협력의 장 마련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 이 유 경

    소속: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백신연구개발총괄과

    직위/직책: 백신연구개발총괄과장

    학력사항

    • 1994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1998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석사(수의면역학)
    • 2008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 수료

    경력사항

    • 2021 ~ 현재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백신연구개발총괄과장
    • 1998 ~ 2021 식품의약품안전처 백신 심사 및 허가, 정책 관련

    발표주제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을 위한 백신 개발 전략 및 추진 현황

    강연요약

    • 코로나19 대유행의 경험을 통해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국민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방역 조치와 함께 신속한 백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략과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수적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국가기관을 포함한 공공영역에서의 백신 개발 주도와 글로벌 공조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습니다.
      이에,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발표된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 계획’에 따라 곧 닥쳐올 수 있는 다음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우선 대응 병원체에 대한 백신 개발에 총역량을 총집중하고자 합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에서 수립한 대유행 대비·대응 전략에 대한 상세 설명과 이행을 위한 백신 연구개발 인프라 및 각종 연구개발 역량, 그리고 글로벌 공조 강화를 통해 감염병으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하고 글로벌 팬데믹 대응 체계에 기여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합니다.
  • 김 경 창

    소속: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

    직위/직책: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장

    학력사항

    • 2000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 학사
    • 2002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 석사
    • 2011 고려대학교 분자생물학 박사

    경력사항

    • 2020 ~ 현재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 과장
    • 2021 ~ 현재 중앙방역대책본부 치료백신개발총괄단 치료제연구개발팀장
    • 2018 ~ 현재 대한에이즈학회 이사, 대한바이러스학회 이사(2022년~)
    • 2012 ~ 2015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박사후과정
    • 2004 ~ 2020 국립보건연구원 보건연구사, 보건연구관

    발표주제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치료제개발 단계 및 개발 전략

    강연요약

    •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거의 2년 마다 크고 작은 감염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동수단의 발달 및 해외 여행객의 증가로 새로운 감염병의 유입 가능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규모 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세계적으로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이에,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에서는 민관 협력연구을 통해 세계 3번째로 항체치료제를 개발하여 환자치료에 사용하였다. 이처럼, 팬데믹 유행시 치료제는 백신이 확보되기 전까지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최선의 수단이 되며 미래 감염병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서 치료제의 선제적 준비와 개발 전략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부처합동으로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 계획’을 기획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번 강연을 통해, 신종감염병 대응 계획을 통해 마련된 치료제개발 단계에 대해 소개하고 우선순위 병원체에 대한 개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Part 2.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을 위한 출연 및 연구기관의 R&D 대응전략

좌장

  • 송 만 기

    소속: 국제백신연구소

    직위/직책: Science 사무차장

    학력사항

    • 1992 서울대학교 생물교육 전공 학사
    • 1994 포항공과대학교 바이러스 전공 석사
    • 2000 포항공과대학교 바이러스 전공 박사

    경력사항

    • 2002 ~ 2004 미국 매릴랜드 의과대학 CVD, 박사후연구원
    • 2007 ~ 2008 프랑스 INSERM, 책임연구원
    • 2004 ~ 2015 국제백신연구소 책임연구원
    • 2016 ~ 2018 국제백신연구소 임상실험연구센터장
    • 2019 ~ 현재 국제백신연구소 Science 사무차장

연자

  • 고 경 철

    소속: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직위/직책: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장

    학력사항

    • 1999 제주대학교 생명공학전공 학사
    • 2001 제주대학교 유전공학전공 석사
    • 2006 Tohoku University 응용미생물학전공 박사

    경력사항

    • 2001 ~ 2002 UNESCO 특별연구원
    • 2015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2017 ~ 20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무관(級)/연구원
    • 2020 ~ 현재 코로나19 대응 연구개발지원협의체 사무국장
    • 2021 ~ 2023 지능형스마트기술정책원 이사
    • 2021 ~ 현재 벤처기업확인기관(중기부) 현장평가위원
    • 2022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장

    발표주제

    • 신·변종 감염병 대비 치료제·백신 전임상 신속 대응 전략

    강연요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코로나19 대응에 한정된 ‘코로나19 대응 연구개발지원협의체’를 상시적 신·변종 감염병 대응 치료제·백신 개발 및 지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KPEC)를 설립(2022)하였다. KPEC은 국가 전임상 지원체계 구축 및 지속적인 고도화을 통해 전임상시험법(감염모델 개발 등)과 연구인프라 고도화하고, 신·변종 감염병 대응 전임상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 및 산·학·연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전임상 원스톱 지원체계 플랫폼은 세포·소동물·휴먼 오가노이드·영장류 활용 유효성 평가, 약물의 안전성 평가, 기타 약리평가 분야를 포함하여 지속적인 고도화가 되고 있다. 신·변종 감염병에 선제적 대응 준비를 위해 최근 ‘KPEC 감염병 대응 우선순위(KPD)’를 제시하였고, 팬데믹응급은행(PEB) 및 디지털 전임상 플랫폼(DPP) 등의 전략과 로드맵을 통해 팬데믹 대응 초고속 신약개발 전략 수립에 힘쓰고 있다.
  • 김 미 현

    소속: 한국화학연구원

    직위/직책: 책임연구원

    학력사항

    • 1992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졸업
    • 1995 한국과학기술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석사
    • 2000 한국과학기술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박사

    경력사항

    • 2000 ~ 2010 목암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수석연구원
    • 2010 ~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치료기술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발표주제

    • 항바이러스제 연구개발의 역량과 전략

    강연요약

    • 신변종 바이러스 유행 상황에서 감염자의 질환 중증도를 완화시키거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바이러스의 증식을 직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치료제의 확보와 공급이다. 인체감염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개발된 치료제의 성공 사례로는 B형 간염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HSV, HIV,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 기능의 다양한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DNA 바이러스의 유전적 안정성과 달리 최근 유행하는 인체감염 바이러스의 상당수는 변이가 잦은 RNA 바이러스가 차지한다.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항바이러스제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항바이러스 타겟 분포도를 조사함으로써 신변종 바이러스의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항바이러스 연구와 개발, 그리고 항바이러스제의 비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탁 동 섭

    소속: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직위/직책: 교수/부소장

    학력사항

    • 1988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사
    • 1992 전남대학교 수의학 석사
    • 1998 전남대학교 수의학 박사

    경력사항

    • 1993 ~ 2010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수의연구사/연구관
    • 2010 ~ 2012 미국 캔자즈 주립대학교 수의과대학 방문연구원
    • 2012 ~ 2016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수의연구관
    • 2016 ~ 현재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감염병예방연구실 교수
    • 2020 ~ 현재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부소장

    발표주제

    •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현황 및 연구동향

    강연요약

    • ○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는 동물의 난치병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정부기관을 제외하고 돼지, 개 등 중대동물을 대상으로 고위험병원체, 생물작용제 및 제 3위험군병원체에 대한 실험이 가능한 동물이용생물안전3등급(ABL-3)시설을 비롯하여 소동물이용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이 가능한 ABL-3 및 BL-3 시설을 구축하고 있음
      ○ 연구소에 구축된 BL-3 및 ABL-3 시설은 외부에 개방되어 있어, 전북대학교 연구자 뿐만아니라 외부연구자들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도록 운영하여 COVID-19 발생시 많은 연구기관에서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수행하여 국가방역에 기여한 바 있음
      ○ 연구소 자체적으로도 인수공통감염병(SARS-CoV, MERS-CoV, Monkey pox virus 등)과 국가재난형질병(구제역,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에 대해서 특수시설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음
  • 장 수 진

    소속: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직위/직책: 팀장/책임연구원

    학력사항

    • 1999 경희대학교 유전공학과 학사
    • 2001 경희대학교 유전공학과 석사
    • 2010 (미국)일리노이주립대학교 미생물학과 박사

    경력사항

    • 2001 ~ 2003 ㈜RNA 연구원
    • 2010 ~ 2013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박사후연구원
    • 2013 ~ 2014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결핵연구팀 박사후연구원
    • 2014 ~ 현재 한국파스퇴르연구소 항생제내성연구팀 팀장

    발표주제

    • R&D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내성세균감염 대응전략

    강연요약

    • 전 세계적으로 한해 127만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며, 2050년에는 모든 사망원인 중 가장 주요 원인으로 1,000만명에 이르는 사망자와 100조 달러에 이르는 사회적비용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견되고 있는 항생제내성세균에 의한 감염은 코로나19 이후 “조용한 팬데믹”으로 불리며 시급히 해결되어야 하는 글로벌 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 이에 항생제내성 세균감염에 대응하기 위한 범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연구지원 플랫폼 및 협력체가 전 세계적으로 설립되고 있으며, 한국파스퇴르연구소도 R&D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아시아 지역사회 항생제내성분석 연구 및 내성세균감염에 대한 신규 치료제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이 훈 상

    소속: 라이트재단 (RIGHT Foundation,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

    직위/직책: 전략기획이사 (CSO)

    학력사항

    • 2002 시카고대학교 졸업 (경제학)
    • 200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 (MD)
    • 2010 존스홉킨스 대학교 보건학 석사 (MPH)
    • 202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보건정책 박사 (PhD)

    경력사항

    • 2008.03 ~ 2009.04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책임연구원
    • 2010.08 ~ 2011.07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 국제보건학과 연구원
    • 2011.11 ~ 2015.10 한국국제협력단 교육보건팀 보건전문관
    • 2015.12 ~ 2016.11 한국국제협력단 가나사무소 보건 ODA 전문가
    • 2017.03 ~ 2021.02 갈랩엔컴퍼니 KOICA Ghana CHPS+ 사업 보건전문가
    • 2017.09 ~ 2019.08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객원교수
    • 2020.03 ~ 2022.02/span>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글로벌거버넌스학과 객원교수
    • 2021.08 ~ 2022.0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
    • 2019.08 ~ 2022.06 국제보건개발파트너스 (GHDP) 공동대표
    • 2021.10 ~ 현재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KCOC) 보건분야 분과위원회 위원
    • 2021.10 ~ 현재 한국국제협력단 보건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 2022.02 ~ 현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겸임교수
    • 2022.07 ~ 현재 라이트재단 (RIGHT Foundation) 전략기획이사 (CSO)

    발표주제

    • 라이트재단 감염병 R&D 지원 및 접근과 글로벌보건증진 기여

    강연요약

    • RIGHT Foundation(Research Investment for Global Health Technology Foundation,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 이하 ‘라이트재단’)은 글로벌 보건형평성 증진을 위한 감염병 분야 R&D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정부, 한국생명과학기업 그리고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3자간 협력을 통해 설립된 최초의 비영리재단이다. 라이트재단은 글로벌 공공재로서의 필수 보건의료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보건의료 R&D 분야에서 한국의 독보적 강점이 활용되도록 하며 국내외 연구자간 협업 추진을 통해 한국의 정부와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이 중저소득 국가들을 위한 감염병 분야 국제보건 형평성 증진 기여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재단은 백신, 치료제, 진단기기 및 디지털헬스 분야에 걸쳐 47개의 과제를 지원해 왔으며, 이중 2028년까지 7개 과제에서 WHO PQ 확보를 예상하고 있다. 최근 라이트재단은 중저소득 국가들의 감염병 진단기기 R&D 활성화를 위해 FIND와 공동연구기금 프로그램을 추진해나가는 등 글로벌 파트너쉽 기반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가운데, 향후 GAVI와 Global Fund 및 아프리카 CDC, 아시아개발은행(ADB) 등을 통한 글로벌 공공조달을 확대해 나가도록 노력해 갈 것이다.
  • 성 백 린

    소속: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직위/직책: 단장

    학력사항

    • 1977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 졸업
    • 1979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물공학 석사
    • 1988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생물학 박사
    • 1992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박사후연구원

    경력사항

    • 1993 ~ 1998 한효과학기술원 생물과학연구소 소장
    • 1996 ~ 1998 한일합섬 이사
    • 1998 ~ 2020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교수
    • 1999 ~ 2002 생물무기금지국제협약 UN회의 정부대표
    • 2001 ~ 2009 프로테온 대표이사
    • 2013 ~ 2018 면역백신기반기술개발센터 센터장
    • 2018 ~ 2022 국제백신연구소 과학자문위원
    • 2020 ~ 202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 2020 ~ 현재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 2020 ~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특임교수
    • 2020 ~ 현재 외교부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 바이오분과 위원장

    발표주제

    • 포스트 코로나 신속대응 항원 백신 개발 전략

    강연요약

    • 기본적으로 백신은 효능과 안전성을 주요한 지표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를 위해 장기간의 개발기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는 급격한 팬데믹 확산 저지에는 전혀 효율적이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우선적으로 생산속도가 빠른 mRNA백신이 코로나 팬데믹 위기대응에 큰 기여를 하였다. 향후 발생될 수 있는 팬데믹 대응에는 안전성과 효능, 신속성을 겸비한 ‘3박자’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는 1) 기존 LNP형태의 mRNA백신에 안전성(safety)과 안정성(stability)을 담보하는 차세대 mRNA유전자 백신전략이 요구된다. 아울러 2) 장기간의 생산기간이 요구되어오던 기존 단백질항원기반 백신의 신속생산이 가능한 혁신적 플랫폼으로 확장이 필요하다. 즉 안전성이 강화된 mRNA백신과 신속생산형 항원백신의 ‘two-track approach’ 에 대한 전략적 중장기 연구개발을 통해 향후 발생 예측이 불가능한 팬데믹에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Part 3.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을 위한 방역연계범부처사업단 R&D 추진방안

좌장

  • 성 원 근

    소속: 범부처방역연계감염병연구개발재단

    직위/직책: 재단대표/사업단장

    학력사항

    • 1982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졸업
    • 1990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 1998 성균관대학교 생물학 이학 박사

    경력사항

    • 2002 ~ 2011 질병관리본부 생물안전평가과장, 병원체방어연구실장
    • 2011 ~ 2013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장
    • 2013 ~ 2015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평가연구부장
    • 2015 ~ 2018 질병관리본부 감염병분석센터장, 감염병센터장
    • 2020 ~ 2022 한국생물안전협회 상근부회장
    • 2022 ~ 2023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본부장
    • 2023 ~ 현재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재단대표

연자

  • 최 창 기

    소속: 범부처방역연계감염병연구개발재단

    직위/직책: 팀장/책임연구원

    학력사항

    • 1999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졸업
    • 2001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생화학 석사
    • 2011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생화학 전공) 박사

    경력사항

    • 2001 ~ 2010 프로테오젠(주) 단백질칩연구연소 선임연구원
    • 2011 ~ 2022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책임연구원
    • 2022 ~ 2023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평가연구부장
    • 2015 ~ 2018 범부처방역연계감염병연구개발재단 팀장

    발표주제

    • 범부처방역연계감염병연구개발재단의 R&D 지원현황 및 향후계획

    강연요약

    • 범부처방역연계감염병연구개발재단은 MERS 이후 수립된 제2차 국가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추진전략(‘17~22)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실행계획의 하나로 7개부처(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행정안전부, 산업부)의 협력으로 재단법인이 설립되었습니다. 사업단의 비전은 감염병에 대한 사전대비, 신속한현장대응, 확산방지에 대한 문제해결형 기술개발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국가의 방역체계가 강화되어 감염병 걱정없는 건강하고 안전한 국가 실현’입니다. ’22년부터 보건복지부의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과 행정안전부의 신종감염병대응체계고도화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3년도 부터는 코로나19를 통해 파악된 방역현장에 남겨진 문제를 해결하고 next 판데믹 대비를 위한 미래 방역체계고도화를 위해 「범부처감염병방역체계고도화사업」을 새로이 추진하고 있습니다. 재단은 공중보건 위기대응과 방역전주기와 연계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8개 부처와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 나가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나갈 것입니다.
  • 김 성 표

    소속: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직위/직책: 교수

    학력사항

    • 1995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 1997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
    • 2005 뉴욕주립대학교 (버팔로) 토목구조환경공학과 박사

    경력사항

    • 2020 ~ 현재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
    • 2020 ~ 현재 한국 물기술인증원 비상임 이사
    • 2020 ~ 현재 한국 물환경학회 부회장
    • 2020 ~ 현재 주) 케이에이디 대표
    • 2020 ~ 현재 탄녹위 공정전환/기후적응분과 녹색중소벤처기업전문위원

    발표주제

    • 하수기반 병원체 감시 및 신속 고감도 현장 데이터 수집

    강연요약

    • 전 세계적인 감염병 팬더믹 이후, 각국에서는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감염병 감시 체계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수기반 병원체 감시체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수기반 병원체 감시체계는 주민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한 물에서 이러한 감염병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선제적으로 감염병에 대응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본 강연에서는 기본적인 하수기반 병원체 감시에 대한 국내외 동향과 하수내에서 신속하게 병원체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반 연구로 위해 기반 작업자 안전 표준작업 지침서, 모니터링 요소기술, 바이오센서 및 감염병 확산예측 모델에 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 발표합니다.
  • 윤 은 경

    소속: 경희대학교

    직위/직책: 교수

    학력사항

    • 1993 경희대학교 간호학과 학사
    • 2005 서울대학교 간호학석사(간호정보전공)
    • 2008 서울대학교 간호학박사(간호정보전공)
    • 2009 Post doctoral Research Fellow, The UWM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College of Nursing Collaborative for Intelligent Health Information Science

    경력사항

    • 2017 ~ 2021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부원장
    • 2021 ~ 2022 경희대학교 간호대학 부학장
    • 2023 ~ 현재 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학회장

    발표주제

    •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보건의료기관 업무연속성 관리기술 개발

    강연요약

    • 보건의료기관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업무연속성관리는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건의료기관이 업무중단 위험의 영향을 파악하고, 보건의료기관의 목표와 가치, 법제도 준수, 대상자 안전 등을 보호하는 효과적인 대응능력을 갖고 조직의 회복력을 구축하는 총체적인 관리 프로세스임.
      감염병 위기 대응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감염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회복의 전체 단계를 연속성있게 연결하여 의료기관이 자체적으로 감염재난대응의 취약성을 개선하고, 재발할 수 있는 미래 감염재난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을 위한 조직의 전사적 행동과 구체적인 조치는 물론 일상업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채택하고 촉진하는 운영 회복탄력성 프레임워크를 포괄하며 시스템동역학기반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화 의사결정의 근거를 설정함.
  • 김 승 훈

    소속: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직위/직책: 책임연구원

    학력사항

    • 2002 한양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졸업
    • 2007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석사
    • 2019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과 박사수료

    경력사항

    • 2005 ~ 20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2007 ~ 2008 ㈜현대중공업
    • 2009 ~ 현재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발표주제

    • 감염병 대응 다중이용시설 지능형 관리기술 개발

    강연요약

    • 다중이용시설 환경에서의 확진자 관리를 위한 AI 기반에 비접촉 체온측정/ 사람속성분석/ 시설간 동일인물 분석/ 마스크 착용분석 및 역학조사 시스템 연계 기술 개발 과제에 대해 소개합니다. 지능형 관리시스템은 기존 역학조사 시스템 보다 빠른 사용자 동선 분석 및 신원파악, 비식별화된 영상 복원, 영상의 빠른 판독, 사용자 구매 이력 연동, 지자체 역학조사 시스템과 연계 및 대규모 발병지역 분석, 시설내 감염원 추적, 확진자 시간대별 체류지점 도출 가능, 딥러닝 기반 AI 이동경로 추적(Tracking) 기술탑재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중이용시설 환경에서 시스템 통합 시험 및 실증을 통한 고도화 및 제품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